작업노트


 나의 작업은 언어와 소통의 불완전성에서 출발한다. 우리가 내면에서 경험하는 감정과 기억은 외부로 완전히 증명될 수 없으며, 언어와 기호로 변환되는 순간 이미 다른 모습으로 흩어진다. 나는 이 불완전한 전달의 과정에서 오히려 새로운 해석과 관계가 만들어진다고 보고, 그 간극을 탐구해 왔다.

 작업은 구조·수용·표현·인지의 네 가지 조건을 중심으로 전개된다.신호는 ‘없음’이라는 공백을 통해서만 의미를 완성하며, 소통의 구조는 처음부터 결핍 위에 세워져 있다.동일한 경험조차 각자의 기억 속에서 전혀 다른 형태로 남아, 감정의 공유는 언제나 불완전한 상태로 머문다.감정이 언어로 발화되는 순간, 그것은 데이터로 환원되어 깊이와 맥락을 잃고,인간은 언어 체계가 가진 오류를 자각하지 못한 채 그 의미를 조급히 봉합한다.이처럼 소통의 과정은 처음부터 완결될 수 없으며, 그 불완전한 흐름 속에서 감정은 계속 변형되고 재구성된다.

 나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언어가 결코 완전하지 않음을 전제로 하면서도, 바로 그 불완전성 속에서 새로운 의미가 생성되고, 관객이 다시 사유할 수 있는 틈이 열리길 기대한다.
Artist statement

My work begins from the imperfection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The emotions and memories we experience internally can never be fully verified externally, and the moment they are translated into language or symbols, they scatter into different forms.I regard this imperfect process of transmission as a space where new interpretations and relationships emerge, and I have continued to explore this gap.

The work unfolds through four conditions—structure, reception, expression, and cognition.A signal completes its meaning only through the blank of “absence,” and the very structure of communication is built upon lack from the beginning.Even the same experience remains in entirely different forms within each person’s memory, leaving emotional sharing perpetually incomplete.When emotion is verbalized, it is reduced to data, losing its depth and context; yet humans, unaware of the inherent errors of linguistic systems, hastily seal up meaning.Thu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can never be complete—within this imperfect flow, emotion is continuously transformed and reconstituted.

Through my work, I assume that language is never complete; yet it is within this very imperfection that new meanings arise and a space opens for the viewer to think anew.